본문 바로가기

자바 언어 기초 - 변수와 타입

강제 타입 변환

캐스팅 연산자로 강제 타입 변환하기

  • 큰 허용 범위 타입을 작은 허용 범위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
  • 캐스팅 연산자로 괄호()를 사용하며, 괄호 안에 들어가는 타입은 쪼개는 단위


    출처, 이것이 자바다


  • 예 : int -> byte 강제 타입 변환


    출처, 이것이 자바다



    출처, 이것이 자바다


package ch02.sec08;

/*
 명시적형변환(강제적 형변환) 예제.
 */


public class CastingExample {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int var1 = 128; //128 -> -128, 129 -> -127 ... //값에 따라 byte형으로 변환시 로테이트로 같이 변환된다.
        // byte데이터 타입 범위 : -128~127
        byte var2 = (byte) var1; //int형 128 -> byte형으로 변환시도.
        System.out.println(var2); //강제타입으로 변환되어도 10 값이 유지.

        //300 값이 유지가 되는 경우는 int, long형 범위에서 관리되기 때문이다.
        long var3 = 300;
        int var4 = (int) var3;
        System.out.println(var4); //강제 타입변환 후 값이 유지가 됨.

        int var5 = 65;
        char var6 = (char) var5;
        System.out.println(var6); // 'A' 로 출력

        double var7 = 3.14;
        int var8 = (int) var7; //소수부분은 버리고, 정수부분만 변환하여 대입한다.
        System.out.println(var8);

    }

}

'자바 언어 기초 - 변수와 타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변수 사용 범위  (0) 2023.01.14
연산식에서 자동 타입 변환  (0) 2023.01.14
자동 타입 변환  (0) 2023.01.14
문자열 타입  (0) 2023.01.13
논리 타입  (0) 2023.01.13